주식을 처음 시작한다면 일단 차트부터 볼 줄 알아야 합니다.
빨간색은 오르고 파란색은 떨어진다는 것은 대부분 알고 있지만 막대 의미도 정확하게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막대에 표현된 의미
컴퓨터로 자주 보는 네이버에서 차트를 보겠습니다.
막대에는 총 4가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시작 가격, 종료 가격, 최고점, 최저점입니다.
시가와 종가는 굵은 막대로 표현하고, 고점과 저점은 얇은 선으로 표현합니다.
차트 색이 빨간색이면 상승했다는 의미로 아래가 시가, 위가 종가입니다.
차트 색이 파란색이면 하락했다는 의미로 위가 시가, 아래가 종가입니다.
즉, 일봉 차트에서 막대 색이 빨간색이라는 것은 주가가 전 날에 비해 오른 것을 의미하는게 아니라 종가가 시가보다 높다는 뜻입니다.
예) 어제 3000원이었던 주식이 오늘 2800원에 거래가 시작되고, 2900원으로 끝남 → 가격은 파란색, 차트 막대는 빨간색
일봉 주봉 월봉
차트는 기간을 설정하여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차트는 일봉 차트로 하루 동안의 시가, 종가, 고점, 저점을 표현한 것입니다.
막대하나가 의미하는 기간은 일봉이면 하루, 주봉이면 1주일, 월봉이면 1달입니다.
단기간에 매매를 해야 한다면 1분봉, 3분봉, 5분봉, 10분봉, 15분봉, 1시간 등 시, 분 단위로도 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
거래된 주식 수입니다. 거래량도 주식을 매매하는데 주요 지표로 참고합니다.
거래량의 색은 차트와는 달라서 전날 종가에 비해 오늘 올랐다면 빨간색, 내렸다면 파란색입니다.
이동평균선
과거 n일 동안의 평균 가격을 이어서 선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20일 이동평균선은 오늘 포함 과거 20일 종가의 평균 가격을 쭉 이어놓은 선입니다.
전체적인 주가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5일선은 단기간의 주가 평균을 내기 때문에 차트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살표 부분의 5일선(초록색 선)은 오늘 포함 이전 5일 종가(초록색 점선)의 평균 가격(빨간색 점선)입니다.
이 선들을 모두 이어주면 평균선이 완성됩니다.
이동평균선은 많은 사람들이 매매 지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